건축물과 상수도·중수도·하수도
건축물에서 물은 상수도, 중수도, 하수도를 통해 공급·재이용·배출된다.
이 세 가지 시스템은 건축의 기본 기능을 구성하는 요소로, 설계 단계에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1. 상수도
상수도는 정수 처리된 깨끗한 물을 건물로 공급하는 설비이다.
수원은 하천, 댐, 지하수 등이 사용되며, 정수장을 거쳐 각 건물로 전달된다.
건축 설계에서는 상수관로의 위치, 수압, 급수 방식(직결식·수조식) 등을 고려해 세면대, 주방, 욕실 등의 위치를 계획한다.
상수도는 모든 건축물의 기본적인 생활 인프라로, 생활용수와 위생을 담당한다.
2. 중수도
중수도는 세면수나 세탁수처럼 오염이 적은 물을 정화해 다시 사용하는 설비이다.
재처리된 물은 주로 화장실 변기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등에 활용된다.
중수도 시스템은 상수도와 구분되는 별도의 배관망, 저장조, 여과시설이 필요하다.
설계 시에는 중수 배관의 경로와 위치, 구분 표시(보라색 배관 등)를 명확히 계획해야 한다.
중수도는 상수 사용량을 줄이고 물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하수도
하수도는 건물에서 사용된 물을 모아 외부로 배출하고 처리하는 설비이다.
생활하수(오수)와 빗물(우수)을 분리하여 배출하며, 건물 내부의 배수관은 지하 배관을 통해 도시 하수관로에 연결된다.
하수도 설계에서는 배수 경사, 통기관 설치, 우·오수 분리 등이 중요하다.
적절히 시공되지 않으면 악취나 역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설계와 시공이 필요하다.
하수도는 건축의 위생과 도시 환경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4. 건축물에서의 물 순환 관계
건축물의 물 순환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수도(공급) -> 사용 -> 중수도(재이용) -> 하수도(배출)
요약하자면,
상수도는 물을 공급하고,
중수도는 재이용을 통해 상수 사용량을 줄이며,
하수도는 사용된 물을 안전하게 처리한다.
이 세 시스템은 건축의 설비계획, 위생설계, 환경설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기능성과 지속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다.
'프로세스, 법규, 용어 > 건축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문화재 현상변경 쉽게 이해하기: 허가 절차부터 전문가 도움까지 (0) | 2025.10.27 |
|---|---|
| 건축도면 주요 용어(약어) (0) | 2023.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