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0

건설 원가 상승, 평당 공사비 얼마나 들까? (2025 업데이트) 건설 원가 상승, 어디까지 오를까? 최근 몇 년간 국내 건설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건설 원가 상승’이 업계 전반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며, 건설사·시공사·발주처 모두가 새로운 해법을 찾는 중입니다. 1. 건설 원가가 오르는 이유 자재비 급등글로벌 공급망 불안, 원자재 수출 제한, 물류비 상승 등의 여파로 철근·시멘트·알루미늄 등 주요 건축자재 가격이 꾸준히 올랐습니다.예를 들어, 철근 가격은 2020년 대비 약 40~60% 이상 상승했고, 시멘트와 콘크리트 가격도 매년 두 자릿수 인상률을 기록했습니다. 인건비 상승숙련 인력 부족으로 인해 건설 현장 인건비도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고령화로 인한 기술인력 이탈, 외국인 근로자 감소 등이 겹치며, '노무비 비.. 2025. 10. 31.
2025년 종합건설사업자 시공능력평가액 공시(시공능력순위_토건)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순위 (2025)1. 삼성물산 주식회사 : 34,721,868 백만원2. 현대건설(주) : 17,248,502 백만원3. (주)대우건설 : 11,896,850 백만원4. 디엘이앤씨(주) : 11,218,305 백만원5. 지에스건설(주) : 10,945,423 백만원 6. 현대엔지니어링(주) : 10,141,697 백만원7. 주식회사 포스코이앤씨 : 9,897,279 백만원8. 롯데건설(주) : 7,402,052 백만원9.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 6,849,340 백만원10.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주) : 5,873,754 백만원 11. (주)한화 : 4,972,024 백만원12. (주)호반건설 : 3,920,890 백만원13. 디엘건설(주) : 3,549,474 백만원14. 두산에.. 2025. 10. 28.
문화재 현상변경 쉽게 이해하기: 허가 절차부터 전문가 도움까지 문화재 현상변경 이란? 현상변경은 문화재의 보존 상태나 주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행위를 말합니다.문화재 자체를 직접 건드리지 않아도, 주변의 경관·지형·구조물 등이 변하면 문화재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죠.예를 들어, 건물 신축·증축·철거 / 토지 형질 변경, 도로 개설 / 수목 벌목이나 조명·간판 설치 등 이런 행위들이 모두 현상변경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법적 근거와 허가 필요성 [문화재보호법] 제35조~37조에 따르면, 문화재의 현상변경을 하려면 반드시 문화재청장 또는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무허가로 진행하면 공사 중지, 원상복구 명령, 최대 2년 이하의 징역이나 벌금 처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허가 절차 요약 1. 사전 조사 – 대상 지역이 문화재 보호구역이나 영향권 내에.. 2025. 10. 27.
건축물 속 물의 흐름: 상수도·중수도·하수도의 역할과 관계 건축물과 상수도·중수도·하수도 건축물에서 물은 상수도, 중수도, 하수도를 통해 공급·재이용·배출된다. 이 세 가지 시스템은 건축의 기본 기능을 구성하는 요소로, 설계 단계에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1. 상수도 상수도는 정수 처리된 깨끗한 물을 건물로 공급하는 설비이다.수원은 하천, 댐, 지하수 등이 사용되며, 정수장을 거쳐 각 건물로 전달된다.건축 설계에서는 상수관로의 위치, 수압, 급수 방식(직결식·수조식) 등을 고려해 세면대, 주방, 욕실 등의 위치를 계획한다.상수도는 모든 건축물의 기본적인 생활 인프라로, 생활용수와 위생을 담당한다. 2. 중수도 중수도는 세면수나 세탁수처럼 오염이 적은 물을 정화해 다시 사용하는 설비이다.재처리된 물은 주로 화장실 변기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등에 활용된다.중.. 2025. 10. 26.
반응형